[매일경제]
合二合一 No-906. [사진 제공 = 갤러리 반디트라소]코로나19로 집에 갇혀 재료도 떨어지자 작업을 이어가지 못해 너무 답답했다. 구순을 바라보는 작가는 집에서 보관하던 버려진 목재들을 꺼냈다. 목재를 쌓고 붙인 후에 화려한 원색을 칠했다. 자연을 닮은 점선은 라틴아메리카 민속 문양 같으면서도 한국적인 느낌이 묘하다.아르헨티나에서 활동하는 김윤신(87)의 작품 '합이합일(合二合一) No 902'(2020)다. 나무를 잘라 나누며 하나가 되는 작품을 뜻한다.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의 개인전 '지금 이 순간'이 8월 9일까지 성북동 갤러리 반디트라소에서 열린다. 한국·아르헨티나 수교 60주년을 기념하고, 라틴·스페인 미술을 전문으로 하는 갤러리의 이전을 기념한 특별 초대전이다. 지난해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에서 전시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작가는 홀로 지구 반대편 남미에서 디아스포라의 삶을 택했다. 6·25전쟁을 계기로 고향인 원산을 떠나 홍익대와 프랑스 파리국립미술학교에서 조각과 석판화를 전공하고 여성으로는 이례적으로 대학교수도 됐다. 그러나 그저 거칠면서도 강한 아르헨티나 목재에 반해 1984년 부에노스아이레스 현대미술관에서 초대 개인전을 가지면서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정착했다. 2008년 본인 스튜디오 자리에 '김윤신 미술관'도 열었다.지금 이 순간 2022-11.나무의 거친 질감이 그대로 드러난 조각은 물론 판화와 조각을 연상시키는 강렬한 원색의 평면회화도 펼쳤다. 올해 주로 작업한 '지금 이 순간' 연작 23점은 우주와 인간 등 모든 것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표현했다. 화려한 꿩의 날개, 세포 등 자연의 원형을 확대한 듯한 추상이다. 나무처럼 결을 살리거나 나무를 가늘게 잘라 붙인 것 같은 착시 효과도 불러일으킨다. 작가는 캔버스에 붓으로 밑칠을 한 뒤 나뭇조각에 아크릴 물감을 묻혀서 선을 하나하나 찍어낸다고 한다.작가는 "고향 원산 밤하늘의 별을 떠올리며 회화 작업을 많이 해왔는데, 이 순간 우주의 세계를 표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미술평론가 최태만은 "김윤신이 추구한 주제는 동양정신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며 "순간의 직관에 충실한 그의 작품은 생성의 환희를 압축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순간은 영원과 만난다"고 밝혔다.그는 독립운동을 하던 고 김국주 장군(상해임시정부에서 김구 선생을 보좌해 항일독립운동을 했고 광복회 회장을 지낸 인물)의 여동생으로 평생 강렬한 생존 의지로 살았다. 1973년 상파울루비엔날레에 참여하며 출품작 이름을 '평화를 사랑하는 자유인들의 영원한 수호신'으로 붙였을 정도다. 한국여류조각가회를 발족시킨 인물이기도 하다.
2022-07-29
[CPBC]
[앵커] 프란치스코 교황의 나라인 아르헨티나에서 조각과 그림을 통해 한국인의 위상과 긍지를 드높이고 있는 신자 조각가가 있습니다.우리나이로 88세, 미수인 한국의 1세대 조각가 김윤신 작가가 그 주인공인데요.7년 만에 한국에서 개인전을 열고 있는 김윤신 작가를 이힘 기자가 만났습니다.[기자] 김윤신 작가의 회화 작품 ‘지금 이 순간’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헤아릴 수 없이 많은 별똥별이 떨어지듯 오묘한 색감과 무늬가 밤하늘을 수놓은 것만 같습니다.또 다른 ‘지금 이 순간’.가까이 다가서면 생명을 품은 세포들이 작은 꽃모양으로 흩어져 있는 듯 보입니다.하지만 조금 뒤로 물러서면 십자가가 눈앞에 펼쳐집니다.생명의 탄생과 죽음을 관장하는 하느님 앞에서 우리는 모두 지금 이 순간이라는 찰나의 연속을 경험하며 살아가는 존재임을 깨닫게 됩니다.점이 선이 되고, 선이 연결돼 멍이나 흔적처럼 뭉쳐지기도 합니다.김윤신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모든 것들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 그리고 우주와 지구, 자연과 인간, 그리고 평화를 작품으로 표현했습니다.어린 시절, 손에 잡힐 듯 쏟아지던 별빛을 잊지 못한다는 김 작가.작가의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얼마 전 나사(NASA)가 공개한 우주의 찬란한 모습과도 닮은 듯 보입니다.<김윤신 잔느 / 재 아르헨티나 한인 조각가>"모든 것이 창세기에 있는 말씀하고 똑같이 하느님이 창조하셨다는 것, 그것이 자연의 생멸되는 그것이 동양의 철학이나 다를 것 없이 똑같은 말이 아니겠나는 생각을 작업을 하면서 발견을 한 거예요."상명여대 교수로 재직하던 1983년, 아르헨티나에 여행을 갔다가 한국과는 완전히 다른 자연의 풍경에 매료돼 현지에 정착한 김윤신 작가.2008년엔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미술관이 설립됐습니다.김윤신미술관은 2010년부턴 부에노스아이레스시가 주관하는 미술관의 밤 참여 미술관에도 선정돼 지역사회 문화 기여에 대한 공로상도 받았습니다.지난 3년간 코로나19 시기엔 외출도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작품에 쓸 재료 수급이 어려워지자 재활용 소재로 만든 작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한국과 아르헨티나 수교 60주년 기념전이기도 한 이번 전시회는 서울 성북동 갤러리 반디트라소에서 열리고 있습니다.전시회는 8월 7일까지입니다.CPBC 이힘입니다
2022-07-19
[노컷뉴스]
지금 이 순간 2020-25_300x120cm_Acrylic on canvas_2020 / 김윤신 / 갤러리 반디트라소 제공한국 1세대 조각가 김윤신(87)이 7년 만에 한국에서 개인전 '지금 이 순간'을 연다. 한국·아르헨티나 수교 60주년과 갤러리 반디트라소 성북동 이전을 기념하는 특별 초대전이다.이번 전시에서는 회화 '지금 이 순간' 시리즈와 조각 '합이합일 분이분일'(合二合一 分二分一) 시리즈 등 37점을 공개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재료 수급이 어려워 재활용 나무로 작업한 나무 조각도 선보인다.작가는 1975년부터 '합이, 합일, 분이, 분일'을 주제로 작업해왔다. 최태만 미술평론가는 "작품은 재료인 나무와 작가 자신의 합일을 의미하며, 노동은 이 만남을 가능케 만드는 매개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合二合一 分二分一_74x49x28cm_Algarrobo wood_1994 / 김윤신 / 갤러리 반디트라소 제공작가는 1983년 상명여대 교수 시절 아르헨티나로 여행을 갔다가 광활한 대지와 풍부한 조각 소재에 매료되어 이듬해 그 곳에 정착했다.부에노스 아이레스 현대미술관에서 개최한 초대 개인전(1984)을 시작으로 40여 년간 중남미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2008년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김윤신 미술관'이 설립됐고, 주 아르헨티나 한국대사관 문화원 내에는 김윤신 특별전시관이 있다.아르헨티나로 건너가기 전 한국에서 '한국여류조각가회'를 발족시켰던 작가는 오랜 세월 타지에 살면서도 자신이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다.작가는 "광복회 회장을 지낸 오빠(故김국주 장군·상해임시정부에서 김구 선생을 모시고 항일독립운동)처럼 독립운동을 한다는 마음으로 창작에 몰두했다. 덕분에 외로움도, 경제적 불안도 이겨냈다"고 말했다.지금 이 순간 2022-20_70x70cm_Acrylic on canvas_2022 / 김윤신 / 갤러리 반디트라소 제공合二合一 No-902_114x26x52cm_ Recycled wood_2020 / 김윤신 / 갤러리 반디트라소 제공
2022-07-18
[한겨레]
<지금 이 순간> 연작 앞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김윤신 작가. 갤러리 반디트라소 제공 한국과 지구 정반대편에 있는 아르헨티나에서 지난 30여년간 예술혼을 불태우며 작업해온 원로 여성 미술인 김윤신(87) 작가가 고국에서 근작 전시회를 차렸다. 지난 8일부터 스페인·중남미 미술 전문 화랑인 서울 성북동 ‘갤러리 반디트라소’에서 열리고 있는 그의 개인전은 ‘지금 이 순간’이란 제목 아래 수많은 직선이 여러 방향으로 무리 지어 몰려가는 색면 회화들과 나뭇조각 30여점을 선보이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아르헨티나의 작업실에서 외부와 고립된 채 작업하면서 재료를 구하는 것이 힘겨워지자 버려진 나무쪽을 이어붙여 위로 치솟은 조각을 만들었다. 화폭에는 나무쪽에 물감을 묻혀 다채로운 선을 일일이 찍어내면서 회화를 그렸다. 살아가는 순간들이 다 새로운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절실하게 깨달으면서 ‘지금’과 ‘순간’이 작품 연작의 제목으로 떠올랐고, 전시회 제목으로까지 이어졌다고 작가는 털어놓았다. 그는 1960년대 홍익대 미대 조소과를 나와 프랑스 국립미술학교에서 조각과 석판화를 수학하고 국내에서 중견 조각가로 활동하면서 1974년 한국 여류 조각가회 결성을 주도했다. 1983년 아르헨티나로 우연히 여행을 갔다가 광대한 자연 풍광과 양질의 조각 재료인 나무들이 풍성하게 있다는 사실에 매혹돼 바로 이주한 뒤 현지에서 꾸준히 작품 활동에 몰입했다. 2008년 한국인 작가로는 처음 현지에 자신의 이름을 딴 미술관을 열고 87살 나이에도 현장 작가로 활동 중이다. 전시는 8월7일까지.
2022-07-17